2021년 사업체 규모별 일자리 비중(자료=한국개발연구원)
2021년 사업체 규모별 일자리 비중(자료=한국개발연구원)

[센머니=박석준 기자] 국내 대기업 직장인의 소득 수준이 중소기업 직장인의 2배 이상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7일 통계청은 '2022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임금근로일자리에서 일한 근로자의 평균 월 소득은 353만 원으로 전년 대비 6.0%(20만 원) 늘었다.

사업체 규모별로 살피면 대기업 근로자의 소득은 591만 원 , 비영리기업 근로자는 346만 원, 중소기업 근로자는 286만 원 순서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대기업은 27만 원(4.9%), 비영리기업은 11만 원(3.3%), 중소기업은 19만 원(7.2%) 씩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757만 원)과 전기·가스공급업(680만 원)이 근로자 소득 수준이 높았다. 반면 숙박·음식점업(172만 원), 협회·단체·기타개인서비스(223만 원) 근로자의 소득 수준은 낮은 축에 속했다.

성별로는 남자 근로자 평균 소득이 414만 원, 여자 근로자 소득은 271만 원으로 전년 대비 남자 근로자 소득은 6.5%, 여자 근로자 소득은 5.7% 증가했다.

같은 날 한국개발연구원(이하 KDI)는 '더 많은 대기업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고영선 KDI 선임연구위원은 KDI FOCUS를 통해 "한국은 대규모 사업체의 일자리 비중이 OECD에서 가장 낮은 국가"라며 "대기업 일자리로 대변되는 좋은 일자리의 부족은 우리 사회에서 대학 입시경쟁의 과열과 사회적 이동성의 저하, 출산율 하락과 여성 고용률 정체, 수도권 집중 심화 등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고 꼬집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체 종사자 기준으로 18.8%, 임금근로자 기준 18.4%에 그쳤다.

반대로 10인 미만 사업체의 일자리 비중은 전체 종사자 기준 46%, 임금근로자 기준 31%에 달했다. OECD 기준 대기업(250인 이상) 일자리 비중은 2021년 한국은 14% 수준에 그쳤다. 또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5~9인 사업체 근로자의 임금은 300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 임금의 54%에 불과했다. 비교적 큰 규모인 100~299인 사업체의 임금도 대기업의 71% 수준에 그쳤다. 

임금 외 다른 근로조건에서도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현격이 뒤쳐지는 모습이다. 고용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30인 미만 사업체의 경우 출산전후휴가제도가 필요한 사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30%였으며, 육아휴직제도의 경우에는 이 비율이 약 50%를 나타냈다. 

KDI는 중소기업이 기업 성장시 발생하는 추가 규제 부담으로 성장을 미루는 이른바 '피터팬 증후군'을 해결해 양질의 대기업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에 대해 여러 가지 지원이 제공되는 반면 대기업에 대해 여러 가지 규제가 부과된다면, 기업은 대기업으로 성장할 유인이 적어 규모를 키우지 않고 중소기업으로 남으려 할 것"이라며 "기업의 규모화(scale-up)를 저해하는 정책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센머니 (SEN 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