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업종별 부실확률(자료=한국경제인협회)
23년 업종별 부실확률(자료=한국경제인협회)

[센머니=박석준 기자] 금리 인상 및 원자재 상승 등 엎친데 덮친 건설업계가 유동성 위기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재무 건전성이 부실한 건설업체도 늘고 있다는 조사 결과다. 

31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은 '기업 부실 예측 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를 내고 지난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 6,425개사 중 4,255개사(11.7%)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2022년 실제 부실기업 수(3,856개사) 대비 10.3% 늘어난 것으로, 2019년 이후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라는 설명이다.

또 2018~2022년까지 비금융업 외부감사기업(주식회사 중 자산총액이 120억원이 넘는 회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자산, 부채, 매출, 이자비용 등이 악화될 경우 부실확률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았다고 밝혔다.

부실확률이란 재무상태가 정상적인 기업이 완전자본잠식 기업으로 전환될 비율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자산과 매출이 1%씩 늘어나면 부실 확률은 각각 0.02%포인트, 0.0004%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채와 이자비용이 각각 1% 증가할 때 부실 확률은 0.02%포인트, 0.00004%포인트 증가한다는 설명이다. 

자산 감소와 부채 증가의 관계에서는 변화폭이 클수록 부실확률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예측됐다. 자산과 부채가 1%씩 감소·증가할 때 부실확률의 증가 폭은 0.02%포인트로 나타났다. 

반대로 자산의 절반 감소 혹은 부채의 두 배 증가 경우엔 부실확률이 30% 포인트 이상 늘어나면서 기업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외부감사기업의 최근 5년(2019~2023년) 동안 평균 부실확률은 2019년(5.33%) 이후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7.92%에 달했다. 부실확률을 견인한 업종은 부동산임대업으로 21.4%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부실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오른 업종은 건설업이다. 건설업 부실확률은 2019년 2.6%에서 2023년 6.0%로 4년간 두 배 이상 늘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건설업에서 기업 부실위험이 크게 증가한 것은 부동산 대출 연체율 증가로 인한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 지속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원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센머니 (SEN 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