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픽사베이
사진 : 픽사베이

[센머니=홍민정 기자] 코로나19로 발생한 대출과 기준금리 상승의 여파가 여전히 거세다. 5대 시중은행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 은행들, 연체율 막자 나섰다 …결과는 '역부족'

실제로 영혼까지 자금을 끌어 모은 '영끌족'들은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가계대출까지 끌어쓰고 있는 상황이며, 코로나19로 위기를 겪은 자영업자들이 속속 상환 한계를 맞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은행들이 부실 대출 채권을 적극 매각하며 지표 관리에 나섰지만, 연체율 급등을 막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인기도 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월 말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04%로 알려졌다. 

4월 말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04%로 집계됐다. 이는 3월(0.272%)보다 0.032%포인트(P) 올랐을 뿐 아니라, 지난해 같은 달(0.186%)과 비교하면 0.118%P나 높은 수준이다.

대출을 주제별로 나눠보면, 가계(0.270%)와 기업(0.328%) 연체율은 한 달 사이 각 0.032%P, 0.034%P 올랐고 1년 새 각 0.116%P, 0.118%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4월 5대 은행의 신규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부실 대출채권)비율도 일제히 상승했다. 신규 연체율은 새로운 부실 증감 추이를 나타내는데, 신규 연체율은 평균 0.082%로, 올해 3월과 작년 4월보다 각 0.008%p, 0.04%p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 비율(0.250%)도 0.008%p, 0.016%p씩 올랐다.

◆ 가계 대출 '오름세' …"하반기에는 심해질 것 "

예상보다 연체율이 빨라지자 은행권도 바짝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소상공인 등 중소기업에 이어 최근 가계대출 연체율 오름세가 갈수록 뚜렷해지는 점이 문제이다. 

올해 초부터 중소기업(개인사업자 포함)의 연체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자산가치 하락 ▲금리 상승 ▲경기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어 빠르게 연체율을 해결할 가능성은 미미해 보인다. 

더욱 큰 문제는 상대적으로 부실 대출에 더 취약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연체율 상황이 최고 수준에 달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약 6∼7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러 '2금융권발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해 제기하고 있다. 

한편, 고금리가 소비, 투자, 주택가격 등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  국내 기준금리가 당분간 인하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고금리 여파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았고, 하반기부터 드러나기 시작해 하반기에는 연체율이 더 치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센머니 (SEN 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