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구조조정 수요 증가 가능성에 대한 대비 필요성(자료=한국금융연구원)

[센머니=박석준 기자] 부실 위험이 있는 기업이 늘어남과 동시에 경기둔화, 물가 및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인해 구조조정 수요가 늘어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한국금융연구원 구정한 선임연구위원은 '기업구조조정 수요 증가 가능성에 대한 대비 필요성' 보고서를 발표하고 "물가 및 금리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기업의 경우 상환 능력 악화로 구조조정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작년 12월 채권은행의 정기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부실징후기업(C, D등급)은 지난해 총 185개사(대기업 2개사, 중소기업 183개사)라는 설명이다. 2021년 160개사(대기업 3개사, 중소기업 157개사)와 비교하면 25개사가 늘어났다.

C, D 등급의 부실징후기업은 원칙적으로 워크아웃 또는 기업회생절차를 통한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최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으로 잠재 부실 가능성이 있는 세부 평가 대상 기업 수도 3,373개사에서 3,588개사로 215개 늘었다.

은행권의 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 1월 말 기준 0.34%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이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정부의 유동성 공급, 저금리 영향이 컸다고 설명하며 이런 외적 요인의 효과가 사라지면서 기업들의 경영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을 따르는 워크아웃 절차가 오는 10월 일몰되므로 구조조정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촉진하기 위해 효율적인 워크아웃 추진을 위한 제도적 환경 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진단이다.

구 선임연구위원은 "재입법 과정에서 워크아웃 절차의 장점인 신속한 기업구조조정 추진, 신규 자금 지원 등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해 기업회생절차와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센머니 (SEN 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