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pixabay. 재판매 및 DB화 금지)
(이미지 : pixabay. 재판매 및 DB화 금지)

[센머니=김인하 기자]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경기가 얼어붙자 시민들의 자발적인 기부 활동도 찬바람이 일고 있다. 전체적인 기부의 규모가 줄어든 이유에는 코로나19의 지속화 문제가 결정적이지만 코로나 여파가 아니더라도 꾸준히 기부량이 감소하는 것에는 다양한 요인이 숨어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11년 기부 36.4%에 달한 기부율이 지난 2015년에는 29.9%, 지난해에는 25.6%까지 떨어지며 꾸준한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의 개인 기부가 꾸준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짚어본다.

먼저, 내가 낸 기부금이 어디에 쓰일지 모르는 불신에 지갑을 닫는 사람이 많다. 실제 지난 2010년 우리에게 사랑의 열매로 알려진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국민들이 낸 성금을 이용, 단란주점과 노래방 등 유흥비로 탕진해 논란이 된 사건이 있다. 논란으로 공동모금회의 윤병철 회장을 비롯한 박을종 사무총장 등 이사회 전원이 사퇴했으나 이후에도 단체에서 유사한 사건들이 끊임없이 발생, 국민들의 기부를 망설이게 하는 큰 요인으로 자리잡았다.

선의로 기부를 해도 과한 세금이 붙어 곤란을 겪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백범 김구 선생의 자손들이 한국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해외 대학 등에 40여 억원을 기부했지만 국세청은 그의 자손들에게 상속세와 증여세를 포함한 27억 원의 세금을 부과해 논란이 일었다. 결국 후손들이 조세심판원에 심판을 청구, 1년 5개월여간의 심사 끝에 세금 중 14억원이 취소되었지만 이 사건 외에도 좋은 마음으로 기부를 했다가 과한 세금으로 낭패를 겪는 경우들이 발생한 경우가 잦다. 이는 민간 기부의 활성화를 위한 입법 제정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기부를 꼭 ‘기부금’의 형태로 해야 한다는 인식도 강하다. 물론 과거에는 현금 기부가 대세를 이뤘지만 오늘날에는 꼭 현금이 아니더라도 내게 필요하지 않은 물건이지만 남에게 나줘 주는 ‘물품기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함께 나누는 ‘재능기부’, 꼭 돈과 시간을 들이지 않더라도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기부에 참여할 수 있는 ‘소셜기부’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코로나19로 전체적인 경기가 침체되고 힘든 상황이지만 이제 ‘나만 잘살자‘가 아닌 ‘함께 잘살자’로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정부에서도 일반 근로소득자가 기부를 했을 경우 세금 감면의 혜택을 늘리는 방안, 또 기부처에서는 기부금의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의 노력도 함께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 모두가 기부를 장려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SNS를 통한 펀딩 등 사람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도전하고 참여할 수 있는 문화를 함께 조성해 나가려는 노력도 꾸준히 수반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센머니 (SEN Mone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